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연말정산에서 13월의 월급 받는 법, 사례로 이해하기

by 은행원23 2024. 12. 31.

연말정산은 ‘13월의 월급’이라 불릴 만큼 세금 환급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어떻게 준비하고 공제 항목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환급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환급 과정을 사례로 쉽게 설명하며, 13월의 월급을 받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.

 

연말정산 13월의 월급
연말정산 13월의 월급

 

1) 연말정산 환급의 원리

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 근로자가 납부한 원천징수 세액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.

  • 원천징수: 급여에서 미리 납부한 세금.
  • 환급 발생 원리:
    • 실제 납부해야 할 세금보다 많이 납부한 경우 환급.
    • 적게 납부한 경우 추가 납부.

Tip: 연말정산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액을 늘리는 것이 핵심입니다.


2) 연말정산에서 환급받는 주요 공제 항목

  1. 소득공제
    • 과세표준(세금을 계산할 기준이 되는 소득)을 줄이는 공제.
    • 예: 신용카드 사용액, 주택청약저축, 연금저축 공제.
  2. 세액공제
    • 산출된 세액에서 직접 차감하는 공제.
    • 예: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, 월세 공제.
  3. 추가 공제
    • 부양가족, 다자녀 가구, 장애인 공제 등.

3) 사례로 이해하는 환급 과정

사례 1: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환급

상황:
김 씨(총급여 5,000만 원)와 이 씨(총급여 4,000만 원)는 맞벌이 부부로, 자녀 1명(6세)이 있습니다.

  • 신용카드 사용액: 2,000만 원.
  • 의료비: 200만 원.
  • 자녀 교육비: 100만 원.
  • 주택청약저축 납입: 240만 원.

1) 신용카드 소득공제

  • 공제대상 금액: 총급여의 25% 초과분(1,250만 원 초과) → 750만 원 공제 대상.
  • 공제율: 15% 적용 → 112.5만 원 공제.

2) 의료비 세액공제

  • 총급여의 3% 초과분 공제 → 200만 원 - 150만 원 = 50만 원 공제 대상.
  • 공제율: 15% 적용 → 7.5만 원 공제.

3) 자녀 교육비 세액공제

  • 교육비: 100만 원.
  • 공제율: 15% 적용 → 15만 원 공제.

4)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

  • 납입액: 240만 원.
  • 공제율: 40% 적용 → 96만 원 공제.

총 환급 예상액: 112.5만 원 + 7.5만 원 + 15만 원 + 96만 원 = 231만 원 환급 가능.


사례 2: 1인 가구의 연말정산 환급

상황:
이 씨(총급여 3,000만 원)는 1인 가구로 월세를 내고 있으며, 의료비와 기부금 지출이 있었습니다.

  • 월세: 연 600만 원.
  • 의료비: 150만 원.
  • 기부금: 50만 원.

1) 월세 세액공제

  • 공제율: 12% 적용 → 72만 원 공제.

2) 의료비 세액공제

  • 총급여의 3% 초과분 공제 → 150만 원 - 90만 원 = 60만 원 공제 대상.
  • 공제율: 15% 적용 → 9만 원 공제.

3) 기부금 세액공제

  • 공제율: 15% 적용 → 50만 원 × 15% = 7.5만 원 공제.

총 환급 예상액: 72만 원 + 9만 원 + 7.5만 원 = 88.5만 원 환급 가능.


4) 13월의 월급을 극대화하는 팁

  1. 간소화 서비스 활용
    국세청 간소화 서비스에서 모든 공제 항목을 확인하고 빠진 자료를 보완하세요.
  2. 가족 공제 전략
    맞벌이 부부는 소득이 높은 사람이 공제를 집중 신청하면 더 큰 환급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  3. 공제 한도 확인
    항목별 공제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자료를 정리하세요.
  4. 미리 보기 서비스 활용
   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미리 보기 기능을 사용하면 예상 환급액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결론

연말정산에서 13월의 월급을 받으려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사례를 통해 공제 항목과 계산 과정을 이해하고, 국세청 서비스와 증빙 자료를 활용해 환급금을 극대화하세요.